분류 전체보기(862)
-
[e시] 카톡 부부 - 우리가 만난건 첨단 기술 덕분
카톡 부부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서쪽은 아내 동쪽은 남편 애초에 만나기를 인터넷 그물에 걸린 아내 아니 그 그물에서 건져진 남편 블로그, 유튜브는 중매쟁이 카톡은 발 빠른 배달부 사십, 아니 거의 오십 평생 서로 만날 수 없는 거리 아니, 이 손 핸폰에 있었지 맞어, 우린 아주 가까이 있었는데 서로 클릭이 어긋났을 뿐 독거노총각 아내가 그 양반 검색하다 내 블로그를 클릭 할줄이야 그 양반 언제 만나면 술 한잔 사야겠어 2023. 4. 12 KakaoTalk Couple With the Pacific in between, The west is where the wife is, And the east is where the husband resides. Originally, we were meant to m..
2023.04.13 -
[속담] 고생 끝에 낙이 온다
이 속담은 어려운 시기나 고난을 겪은 뒤에는 반드시 좋은 일이 찾아온다는 뜻입니다. 어려움을 극복하고 노력한 끝에는 보상이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 속담을 들으면 이 인생이란 것이 동굴이 아니라 터널이라는 생각이 든다. 동굴은 들어가면 나오는 출구가 불확실하지만 터널은 들어가서 계속 걸으면 언젠가 환한 출구가 있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이 있는데 고생 없이 고이 자란 사람은 조그만한 역경에도 쉽게 무너진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힘든 고통을 겪어 보면 그 끝에 묘한 개운함이 있다. 마라톤을 뛰다 보면 세컨드 윈드인 것이다. 즉 마라톤을 오래 뛰다 보면 죽을 만큼 힘들다가 어느 시점에서 힘들지 않고 쉽게 달리게 되는 구간이 세컨드 윈드이다. 바로 그 세컨드 윈드가 이 속..
2023.04.11 -
배우 옹성우 프로필 - 드라마, 열여덟의 순간
이름: 옹성우 (Ong Seong-wu) 생년월일: 1995년 8월 25일 출생지: 대한민국 제주도 제주시 직업: 가수, 배우, 모델 신장: 179cm 체중: 65kg 혈액형: B형 별명: 옹토샤, 뿌잉뿌잉 소속사: 와니브 엔터테인먼트 (WANNA ONE 소속) 데뷔: 2017년 8월 7일 (WANNA ONE 멤버로 데뷔) 직업: 배우로의 전향 후 2018년에 드라마 '아는 와이프'로 배우 데뷔 대표작: 드라마 '아는 와이프', '18 어게인', '미스터 션샤인', '모범형사 김춘추', '계룡선녀전', 영화 '라이브' 수상 경력: 2019년 제55회 백상예술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드라마 '아는 와이프') --- 옹성우란 배우를 처음 알게된 건 네플릭스 드라마, 열여덟의 순간을 보게 된 이후였다. 극중 최..
2023.04.11 -
망원경의 원리
망원경은 먼 물체를 가깝게 보기 위해 사용되는 광학기기로, 두 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망원경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렌즈의 수렴 작용: 망원경의 전면 렌즈는 물체에서 발생한 빛을 수렴(converge)시켜 하나의 초점(focus)에 모아준다. 이렇게 수렴된 빛은 렌즈 뒷부분에 위치한 눈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렌즈의 산란 작용: 망원경의 후면 렌즈는 수렴된 빛을 다시 분산(disperse)시켜, 수렴된 빛이 모여 있는 초점에서 복원된 빛을 눈에 보이는 형태로 만들어 준다. 렌즈의 확대 작용: 망원경의 두 개의 렌즈는 물체의 이미지를 더 크게 확대(magnify)하는 역할을 한다. 전면 렌즈에서 이미지가 수렴되고, 후면 렌즈에서 분산된 빛이 다시 모여 이미지가 눈에 들어오게 되면, 눈에는 원래 물체보..
2023.04.11 -
고슴도치 딜레마란 무엇인가?
고슴도치 딜레마는 게임 이론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으로, 상호작용하는 두 개체가 서로 이익을 추구할 때 발생하는 갈등 상황을 묘사하는 모형입니다. 이 딜레마는 두 마리의 고슴도치가 겨울에 추위를 피하기 위해 모여 뭉친 상황에서 비유됩니다. 이 고슴도치들은 서로 가까이 붙어있을수록 서로의 체온으로 인해 따뜻해지지만, 너무 가까이 붙으면 가시로 상처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고슴도치는 서로의 안전과 따뜻함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게임 이론에서는 고슴도치 딜레마를 통해 이와 비슷한 상황에서 개인의 이익과 집단의 이익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며, 이를 통해 상호 협력과 경쟁 관계를 분석합니다.
2023.04.09 -
심리학 용어,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란 무엇?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는 먹는 것과 관련된 고전적인 조건반사(classical conditioning)의 한 예시입니다. 이 효과는 맛과 함께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다른 자극들과 비교하여, 음식과 함께 노출되는 다른 자극들이 동물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훨씬 더 빠르고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즉, 동물들은 일정한 시간 동안 음식과 다른 자극(예를 들어, 특정한 빛, 소리, 냄새 등)을 함께 노출시키면, 이 자극들이 음식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으로 학습됩니다. 이렇게 되면, 이러한 자극들이 동물의 배가 고프지 않을 때에도, 동물은 음식을 찾으려는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가르시아 효과는 동물행동학자 존 가르시아(John Garcia)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그는 1966년 ..
2023.04.06